코로나19가 한창일 당시 특수를 누렸던 배달업계에 판도가 바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 코로나 엔데믹 영향으로 이용자 수가 급감하자, 배달앱들이 알짜 수익원이었던 '배달비' 수술에 들어간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달, 요기요, 배달의 민족, 쿠팡이츠까지 배달 플랫폼 3사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2,898만 명으로 지난해 동기 3,532만 명 대비 18%나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배달앱 이용을 줄인 이유를 묻는 설문 조사결과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10명 중 8명이 넘는 응답자가 배달비가 비싸져서라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배보다 배꼽이 크다고 할 정도로 울며 겨자 먹기로 냈던 배달비. <br /> <br />편의성과 감염병 예방에 대한 방어 차원으로 감수했던 배달비지만,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거세진 물가 압박에, 소비자들이 배달앱을 외면하기 시작한 건데요. <br /> <br />발등에 불이 떨어진 배달앱들, 당장 고객 확보가 우선이라며 배달비 조정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배달앱 요기요는 '직선거리 기준'으로 책정하던 배달비를 '실제 거리 기준'으로 변경하고, 할증 요금 기준도 완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정기구독 서비스까지 실시했는데요. <br /> <br />정기적으로 월 구독료를 결제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횟수 제한 없이 무료로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배달앱도 배달비 혜택을 내놓기는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배민은 지난달 '알뜰배달' 서비스를 선보였는데, 배달지까지 가는 동선을 분석해 묶음 배달하고, 그만큼 배달료를 낮추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테면 택시의 합승 같은 개념이죠, <br /> <br />쿠팡의 배달 플랫폼 쿠팡이츠도 공격적인 할인상품을 선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부터 유료 회원들을 대상으로 10% 할인 마케팅을 시작했는데, 계열사끼리의 시너지로 유료 회원을 확대하겠다는 포부입니다. <br /> <br />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배달 앱들이 이용자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, 배달 세계를 떠나는 건 이용자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배달 종사자인 청년들, 바로 라이터들의 이탈도 가속화 하면서 오토바이 매물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코로나19 종식과 함께 그동안 포화됐던 배달앱 생태계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앞으로 이런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여, 배달 종사자를 비롯해, 점주, 플랫폼 사업자, 모두가 생존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1817231609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